위 기사에 의하면 베트남에서 수입되는 저가의 블랙 타이거라는 새우들의 머리에 우무가 들어 있다고 합니다.
즉, 베트남 어부들이 새우의 무게를 늘리기 위해 주사 바늘로 새우 몸통에 우무를 주입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식용 우무인지 공업용 우무인지 여부에 대해 식약청은 조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냉동 블랙타이거 새우는 매년 대략 2300톤 정도 수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난 6월에는 역시 베트남산 흰다리 새우에서 동물용 항생제 날리딕스산이 축산물 기준치의 3배 넘게 검출됐다고 합니다.
날리딕스산이 인체에 흡수되면 구토와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입산 수산물이건 무엇이건....요즘엔 도대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이 도대체 드문 것 같으니....어이가 없습니다.
도대체 누구를 믿고, 무엇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말인지?
세상이 도대체 왜 이렇게 되어버린 것일까요?
사실 국산식품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이미 잘 알려진 일이지요.
예컨데, 국산식품들 중에도 유전자조작 옥수수나 콩으로 만들어진 식품들이 의외로 많다고 합니다.
(뱀발) 공업용 우무, 산업용 우무
내 블로그에 위와 같은 검색어로 방문하는 분들이 많아서
이 뱀발 부분을 추가합니다.
"우무"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자 하시거나 또는 "공업용 우무"에 대해 아시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 주소로 가셔서 살펴보세요. 그러면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공업용 한천은 도료 등에 쓰이기 때문에 마트에서 판매하지 않거든요.
한천(agar-agar)이라는 점질물이 다량있어 통조림, 아이스크림, 과자등의 식품에는 물론 의약용, 공업용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우무가사라는 홍조류에 속하며 7~9월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한천의 양이 풍부하다. 이것은 직접 이용되지 않고 한천(agar-agar)이라는 점질다당류(mucilaginous polysaccharide)를 추출하여 이용하고 있다.
한천은 원조를 삶아서 얻은 우무를 자연저온을 이용하여 동결, 융해를 반복해서 변패시키지 않고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때 원조는 우무가사리, 꼬사래기(Gracilaria) 석푹(Campylaephora)등 여러 종류를 섞어 쓴다.
이렇게 자연제조법이 있고 산업적으로 생산한다. 이 방법은 경비는 많이 드나 계절에 관계없이 좋은 한천을 대량으로 생산 할 수 있다.
한천은 더운물에 식으면 응고되어 응고력이 강하고 투명하다. 일반요리에서 뿐만아니라 양갱, 젤리, 아이스크림등의 식품가공용으로 광택이 있어 도료나 광택제로, 또 의약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우무는 소화기관내에서는 소화되지 않으므로 영양적으로는 가치가 없으나 비만방지용 저칼로리 식품으로 또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변비를 막는 완화제로 이용된다.
'건강 관련 글 및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경규 공황장애 고백, 공황장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0) | 2013.10.16 |
---|---|
이물질 우무 베트남 새우, 동물 항생제 검출 - 공업용 우무, 한천, 우뭇가사리 효능, 변비 다이어트에 도움 (0) | 2013.10.16 |
미국산 쇠고기 '독성 물질' 질파테롤 검출 논란 (0) | 2013.10.10 |
발톱 무좀약이 에이즈 치료, 시클로피록스(ciclopirox) HIV감염세포 자살 유도, 무좀약 사이클로파이록스→에이즈 효과 (0) | 2013.09.29 |
저서(전자책)입니다. 일독을 권합니다.